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지구는 예쁘다
하늘은 고요하다.
마음도 따라 고요해 지는 것 같다.
-----------------------------------------------
[Leisure]항공레저 대명사
‘패러글라이딩 배우기’ 지상강좌…
국토 80%가 산악지형 대한민국은 ‘항공레저 천국’
패러글라이딩 입문과 고급과정을 모두 마치고 나면 다음 단계는 그야말로 ‘자유’다.
전국 유명 활공장을 돌아다니며 그리스 신화 속 ‘이카로스의 꿈’ 실현이 가능하다.
태백에서 차령, 소백산맥까지 발아래 펼쳐진 백두대간을 마음껏 음미할 수 있다.
제주 하늘을 누비며 한라산과 푸른 바다를 내려다보거나, 수십 킬로미터 장거리 비행도 가능하다. 물론 ‘바람과 기류를 잘 만나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려있다.
국내 유명 활공장의 위치와 고도, 주변 경관 등에 대해 알아본다.
|
우리나라에는 현재 총 200여 곳에 달하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전국에 퍼져있다. 국토 면적의 약 80%를 차지하는 산악지형이 유리한 조건을 만든 셈이다. 특히 산지 대부분의 고도가 200∼500m로 낮고, 풍속도 심하지 않아 활공장으로는 최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 어디서든 푸른 하늘을 새처럼 날 수 있다.
다만 일부 활공장의 경우 자격증 종류에 따라 비행을 제한하는 곳이 있다. 보통 초급자들이 이륙하는 데 적합한 활공장 경사 각도는 25~30도. 시속 10~15km 맞바람(정풍)이 불 때 최적의 조건이 된다. 물론 착륙장 주위에 별다른 장애물이 없는 초지나 모래사장 등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전국 주요 활공장을 살펴본다.
산세가 빼어난 강원도에는 자연풍광이 멋진 활공장이 유난히 많다. 강원도 평창읍 장암산에 위치한 활공장, ‘해피700’에서는 선자령 등 백두대간 주능선은 산세는 물론, 굽이치는 평창강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특히 이륙장이 넓고 사방이 탁 트여 비행 시작부터 평안하다. 3만여 평 백사장 부지에 마련된 착륙장 역시 평탄해 초보자도 별다른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안착할 수 있다. 해발고도는 800m. 차로 20분 정도면 정상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산사면이 급경사이고, 이륙장과 착륙장 사이가 짧아 사면비행을 통해 1,2차 고도를 유지해야 안전하다. 비행 방향은 남서나 서, 북서쪽이다.
이외에도 강원도에는 울산바위 감상이 가능한 선인대와 춘천 마천리 구봉산, 원주 치악산 등 천혜의 조건을 갖춘 활공장들이 즐비하다.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도 지역 활공장에는 주말뿐 아니라 평일에도 이용객들의 발길이 끊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 중에서도 용인 초부리와 광주 매산리에 위치한 활공장이 돋보인다.
특히 광주 매산리 활공장은 초급에서 고급자까지 단계별로 이륙할 수 있도록 해발고도 30m~500m까지 다양한 활공장이 조성돼있다.
이와 함께 활공장 해발고도 400미터 정도인 용인 정광산 활공장에서는 사면 비행 및 열기류 비행이 가능한 곳으로, 중급자들이 이용하기에 적절하다. 다만 착륙장 반대방향으로 와류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이 단점. 따라서 초보자의 경우 기상여건을 잘 파악한 후 비행해야 안전하다.
날씨가 맑은 날 이곳에서 비행을 하다 보면 용인시내와 분당신도시는 물론 동탄신도시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이들 두 곳 외에도 부평 계양산, 포천 국망봉, 성남 남한산성, 가평 유명산, 이천 설봉산 활공장 등 그 숫자를 헤아리기조차 힘들 정도다.
한편 충청도는 우리나라 패러글라이딩의 메카나 다름없는 고장이다. 국내 최초로 설치된 양방산 활공장 덕분이다. 이곳에서는 굽이치는 남한강 사이로 단양 읍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제1이륙장의 해발고도는 650m, 제2이륙장은 535m 적당하다. 정상까지 3.4km 도로가 잘 포장돼있고, 차량 20대 주차도 가능하다.
국내 1호 활공장은 단양 ‘양방산’
특히 착륙장은 도전 수변공원 앞 남한강변 모래사장, 초경량 항공기(ULM) 활주로 1만평에 달한다. 고급비행은 물론 초보자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곳은 특히 석회암지대 상승기류와 강바람이 계곡을 따라 정풍으로 불어와 고도잡기에 용이하다. 1993년 국내 최초로 설치됐으나 1977년 좀더 높은 곳으로 장소를 옮겨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이외에도 청주 가야산이나 온양 광덕산, 홍성 오서산 등은 충청권에서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최적의 조건을 갖춘 활공장이다.
영남지역 대표 활공장으로는 문경활공랜드를 꼽을 수 있다. 해발고도 730m인 제1이륙장에서는 남서와 서, 북서풍 이륙이 가능하다. 반면 해발고도 866m인 제2이륙장에서는 동서남북 전 방향에서 이륙할 수 있다. 이륙장 넓이도 각각 3500m², 6800m²로 넓어 패러글라이딩 10대가 동시에 이륙할 수 있다.
지형은 분지 형태로 상승기류 형성에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주흘산이나 주령산, 포암산, 대미산, 백화산 등 백두대간 명산들이 이륙장 주변을 감싸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 |
특히 이곳은 국내에서 세계대회를 치를 수 있는 유일한 활공장으로, 실제 2002년에는 패러글라이딩 프레월드컵, 2009년과 2011년에는 패러글라이딩 월드컵(PWC)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달성군 현풍면에 위치한 대니산이나 안동 학가산, 거제도 계룡산, 삼천포 와룡산, 밀양 천황산 등 다수의 활공장이 곳곳에 널려있다.
호남지역에서는 광주 무등산과 보성 주월산 활공장을 빼놓을 수 없다. 무등산 활공장의 경우 중머리위나 형제바위, MBC송신소, 동학사절터 등 모두 4곳에서 이륙 가능하며 특히 사면 상승풍 비행을 하기에 적절하다. 광주시내에서 불어오는 열기류를 잡으면 고도 비행도 가능하다. 다만 초보자의 경우 기체가 흔들릴 수 있고, 주변에 적절한 착륙장이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발고도 550m 정도인 주월산 활공장은 차로 30분거리 임도가 잘 개설돼있다. 특히 전면 득량도에서 불어오는 정풍으로 비행이륙이 쉽고 깔끔한 것이 특징이다. 여수 마래산이나 장흥 천관산, 해남 대둔산 활공장 등에서는 열기류와 크고 작은 섬들을 품고 있는 한려수도 푸른 바다를 감상할 수 있다.
부산에서 가장 높은 금정산 원효봉 활공장 해발고도는 687m. 넓은 초지와 매트를 깔아 놓은 이륙장까지는 도보로 약 20분 거리. 이륙장 방향에 따라 푸른 바다와 해동 저수지, 낙동강 줄기가 탁 트이게 발아래 보인다.
이곳의 장점은 크게 2가지. 먼저 양쪽 어느 바람이 불어와도 비행이 가능하다는 것. 해풍이 강해 잘만하면 강한 써멀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초급, 중급은 사면 상승비행, 상급은 크로스컨트리 비행에 적합 하다.
386개의 오름이 있는 제주 전 지역이 천연 활공장이나 마찬가지다. 오름에서 바람을 타고 이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금악이나 당오름, 성불오름 활공장 등에서는 빼어난 경관 조망은 물론 바람이 부드러워 초급자들도 부담없이 패러글라이딩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전용시설을 갖춘 곳이 없어 어려움이 많았다. 다행히 제주시는 이달 초부터 한림 소도읍 금악리에 패러글라이딩 이·착륙장 시설공사를 착수, 올 10월 말 마무리지을 예정이다.
이색 활공장은 어디...
1325m 차일봉 국내 최고… 비봉산 모노레일 운행
![]() |
지리산 차일봉 활공장은 해발고도 1325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노고단 아래 위치한 고산지역으로 이륙장 주변에 별다른 장애물이 없다. 대신 산죽과 원추리 꽃들이 바닥에 촘촘히 깔려있어 완벽한 천연 이륙장 조건을 갖추고 있다.
착륙장인 군례읍 둔치공원까지는 직선거리로 4km. 비행하는 동안 한 폭의 수채와 같은 노고단 정상 풍경과 울창한 숲으로 둘러 쌓인 화엄사 계곡, 아기자기한 모습의 구례읍내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주 풍향은 남풍이지만 남동이나 남서풍에서도 이륙이 가능하다. 그동안 구례군수기 대회가 열리기도 했으나 국립공원과 환경보호단체의 강력한 반대로 2001년부터 비행이 금지돼 패러글라이딩 마니아들을 안타깝게 했다.
한편 모노레일을 타고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진입이 가능한 곳이 있다. 그 곳은 바로 충북 제천 청풍지역에 위치한 비봉산 활공장. 탑승인원은 7명으로 한번에 7대가 운행한다.
제천시는 지난해 8월 청풍면 도곡리~비봉산 활공장을 잇는 전기식 모노레일을 개통했다. 길이는 왕복 2.94㎞. 요금은 8000원이다.
[글 김동식 기자 사진 매경DB, 문경활공랜드]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377호(13.05.14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our 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지역구분 (0) | 2013.06.09 |
---|---|
[화보]국내 최대 벽화마을 경주 읍천리 (0) | 2013.05.14 |
하늘을 나는 새로운 경험 - 패러글라이딩 (0) | 2013.05.02 |
서울 성곽길 18km 어디서부터 걸을까 (0) | 2013.04.25 |
화사하고 예쁜 여행| 5월이 딱이야, 대전 시티&컬쳐 투어 (0) | 2013.04.25 |